지난 1월 6일, 17기 학생기자 네 명(반제연, 여고은, 이동렬, 이민형)은 조각보와 같은 도시조직이 인상적인 서울 강남구에 모여 『서울 어바니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책의 내용을 정리하고 읽은 감상을 나누며 ‘서울 도시형태의 회고적 읽기’라는 부제가 참 적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건축학도로서 단순한 정보 습득을 넘어 설...
2023.03.24
클라이언트들이 집을 짓고 난 후 SNS 활동을 활발히 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구축해나가는 모습, 그리고 그들을 통해...
2023.03.17
2022년 11월 17일 개막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연례전 〈2022 타이틀 매치: 임흥순 vs. 오메르 파스트 《컷!》...
2023.03.08
건축에서 동물은 환경을 지속 가능하게 해주는 단초가 될 수 있을까? 심지어 건축물 생애주기에서 도외시해온 철거...
2023.03.03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전달하는 카펫뉴스의 첫 오프라인 공간이 대구 도심에 문을 열었다. 내부 공간의 디자인은 ...
2023.03.02
정수진의 주택은 ‘정겨운 동네’라는 신화가 의미하는 공공성의 실체에 대한 문제 제기일 수도, 지금 이 도시의 삶...
2023.02.27
‘오늘의 건축가’는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저마다의 건축을 모색하는 젊은 건축가를 만나기 위해 기획됐다. 그들...
2023.02.20
2023.02.15
2023 베니스비엔날레가 오는 5월 20일부터 11월 26일까지 베니스 자르디니와 아르세날레 일대에서 개최된다. 이번 ...
2023.02.13
우리가 계획하는 대부분의 공간은 커뮤니티를 위한 편의시설 내지는 문화시설이다. 누구나 오고 가며 편하게 머물 ...
2023.02.01
신호섭, 신경미가 이끄는 신아키텍츠는 지난 12년간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 공간을 주로 다...
2023.01.30
어떤 브랜드에 대해 관심이 생겼을 때, 그 브랜드를 알아가는 가장 좋은 방법은 플래그십 스토어를 직접 방문하는 ...
2023.01.27
보화각은 간송미술관 경내에 자리한 건축물로 건축가 박길룡이 설계하여 1938년 완공했다고 알려져 있다. 김현섭(...
2023.01.17
2023.01.12
"이 공간에서, 내가 머물고 있다는 것. 이것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죠."
2023.01.10
2023.01.05
과거의 공간에 대한 욕망이 넘실대는 시대, 우리는 일견 건축가의 색채를 지워가는 듯한 최춘웅의 작업에서 오히려...
2022.12.28
「SPACE(공간)」 84호(1974년 4월호)에 실린 미술평론가 박용숙의 ‘왜, 관념예술인가?’는 고질적인 문제를 다시 꺼...
2022.12.22
방기애, 엄태규는 건축과 인테리어, 가구 제작까지 아우르며 씨엠엠 건축사사무소만의 결이 묻어나는 공간을 제안...
2022.12.16
서울대-목천 강연 시리즈의 올해 주인공은 H&P 아키텍츠(HPA)다. 강연자 돈 탄 하는 2009년 베트남 하노이에 쩐 응...
2022.12.15
‘길-필지-블록, 건물, 영역, 슈퍼블록, 조각보, 시설의 배치, 가로경관, 공공공간, 자연’. 지난 11월 출간된 이상...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