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기능보다 사람을 중심에 둔 오피스: 디파이 사옥

정재헌 + 모노건축사사무소

정재헌
사진
윤준환
자료제공
모노건축사사무소
진행
최은화 기자
background

 

 

 

강남의 조용한 주거지역에 있는 디파이 사옥은 정면에는 고층 아파트가 장벽처럼 서 있고, 비슷한 규모의 건물들이 대지를 둘러싸고 있다. 거리와 소통하면서도 안정감을 주기 위해 저층부는 열고, 인접 건물과는 두꺼운 벽으로 강한 경계를 만들었다. 대신 1층 라운지를 반 층 올리는 스플릿 플로어(split floor)로 계획하여 내부 공간을 시각적으로 보호하면서 동시에 지하 공간으로 빛이 흘러가도록 했다. 중정으로 확장된 1층 라운지는 수직·수평의 동선과 내외부의 시선이 한번에 관통하는 에너지가 넘치는 공간으로 계획했다. ‘오피스’의 기본 개념은 이제 ‘기능’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바뀌었고, ‘몸’의 편리함에서 ‘마음’의 편안함으로 확장되고 있다. 오피스는 이제 업무 공간이 아니라 ‘집’과 같은 따뜻한 생활공간이 되어야 한다. 늘 모니터 앞에 있는 일상에서 잠시 하늘을 보고 바람을 맞고, 계절과 날씨를 느낄 수 있는 작은 공간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외부 환경이 누구보다 이들에게 꼭 필요하다는 생각에 알찬(solid) 내부 공간보다 비어 있는(void) 외부 공간을 먼저 디자인했다. 하늘로 열린 중정을 안쪽에 배치하여 각 층의 내부 공간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연결했다. 중정의 빛은 선큰 가든으로 이어진 빛의 벽을 타고 지하 공간으로 전해진다. 층고를 높이고, 최대한 개방감을 확보한 지하 공간에 흘러내리는 빛줄기는 때로는 강렬하고 때로는 부드럽게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3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중정은 빛과 자연이 움직이는 감성의 공간이다. 중정의 ‘벽’은 시선 차단의 목적보다는 오히려 정제된 풍경을 보고 즐길 수 있는 ‘창’으로 계획됐다. 사옥의 모든 공간에서 벽은 그 자체로 빛과 하늘이 연출하는 ‘미디어’로 시시각각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길 기대했다. 의도적으로 두껍게 디자인된 벽은 볼륨으로 느껴질 만큼 무겁고 단단하다. 외부에서 바라보는 입면이면서 동시에 내부에서 경험되는 또 다른 입면이 된다.​ (글 정재헌 / 진행 최은화 기자)

 

 

 

 

벽체마감삼성금속 산화발색 SSTL

조명▶​ LITEWORK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정재헌(경희대학교) + 모노건축사사무소

설계담당

임홍량, 송영구

위치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380㎡

건축면적

185㎡

연면적

997㎡

규모

지상 4층, 지하 2층

주차

7대

높이

18m

건폐율

49%

용적률

146%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사비석, 산화발색 스테인리스스틸

내부마감

석고보드 위 페인트, 산화발색 스테인리스스틸, 노출콘크리트

구조설계

(주)은구조 기술사사무소

기계,전기설계

(주)성도엔지니어링

시공

(주)이안알앤씨

설계기간

2018. 10. ~ 2019. 4.

시공기간

2019. 5. ~ 2020. 7.

건축주

황병삼

조경설계

KnL 환경디자인 스튜디오(김용택)

가구 디자인

개마


정재헌
정재헌은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 벨빌 국립건축대학에서 앙리 시리아니의 지도를 받았다. 미셸 카강 사무실에서 근무하다가 귀국하여 1998년 아틀리에를 열었다. 현재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다음 세대를 이끌 건축가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모노건축사사무소와 함께 삶을 짓는 건축가로 디자인 열정을 쏟고 있다. 도천라일락집으로 서울시건축상 대상, 한국건축가협회상을 받는 등 완성도 높은 작품들로 다수의 건축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양평 펼친집, 호시담, 판교 요철동, 오륙도 가원레스토랑, 동검리주택단지, 두물머리 주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