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호
차대덕 / 일본에 있는 고려불화 / 미술 / 64~65 / 사회적 문제의식, 현장감, 사람의 표정, 정신적 사회관, 소재의 초점, 형상의 허구성, 회색 톤, 무표정의 색감, 에어 브러시, 공허감, 차대덕 작 '상황'(1978) /
138호
백승길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포룸 / 미술 / 107~113 / 불상의 배열, 지성소, 사찰 전체 성로, 중국 불상 배치도, 불상 배열 경전에 근거, 전통의 도해, 만달라, 명상을 위한 그림, 보살상의 기원, 대승불교의 보살, 돈황석굴 아미타불 그림, 인도 아잔타 석굴 1호실 관음보살상, 반가사유상 /
김유경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초점 / 연극 / 98 / 제2회 대한민국연극제, 대상: 현대극장 '멀고 긴 터널', 문공부 장관상 3편, 무엇이 될고 하니(자유극장), 태풍(극단 가교), 산국(여인극장), 범연극계 호응, 창작극 연극제, 연출의 역할, 연출상 공동 수상, 김정옥(무엇이 될고 하니), 김상열(멀고 긴 터널), 희곡상 황석영(산국) /
이흥우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초점 / 미술 / 96~97 / 도자기의 나라,전통단절, 해방 후 다시 출발, 국적 있는 한국도예, 한국현대도자기전, 국립현대미술관, 현대 작가의 창의성, 14인의 69점, 조선조 여운, 윤광조 작 '사각합', 김석환 작 '앵', 황종례 작 '기', 김익녕 작 '백자수반' /
김용철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특집 / 논문 10선 / 건축 / 25~29 / 전통의 속성, 한국문화, 동양문화, 현대의 공통문제, 전통의 본질, 전통추구의 실제, 주택계획과 전통, 계획원리 /